자산_패스트캠퍼스

패스트 캠퍼스 챌린지 22일차

gyusama 2021. 11. 22. 23:40

은행-구경회

은행 산업 내 기업 14:14 

강의 내용 

은행주 소개

1. KB금융 

시각 총액이 가장 크고, 2021,2022년 이익 증가

가장 모범적인 경영이 진행되고 있는 대표 은행지주

장기적으로 벨류이에션 자체가 내려갔는데 실적 자체보다는 

 

2. 신한지주 

주주환원 재고에 대한 기대감을 가져 보자

상장 은행 지주 회사 중에서 선진 금융시장을 가장 먼저 받아 들인 회사 

M&A(인수 합병)을 통해 성장해 온 회사.

15% 성장 회사 

가장 업종 내에서 *벨류에이션이 월등히 높은 기업.

은행업종 PBR보다 높은 프리미엄을 받아 욌다. 요즘은 프리미엄을 낮아졌지만 업종 평균 이상

 

3. 하나금융지주

과거에 비해 높아진 업계 내 위상

IMF 이전에 비교적 작은 은행이었지만 IMF 이후 살아남으면서 

최근에는 외환은행을 인수하면서 사이즈를 크게한 은행

대형 금융지주회사. 과거에 갖고 있는 중소형 은행이 아닌 대형 은행.

배당 수익률이 높은 편에 속함

 

4. 기업 은행

정부가 대주주인 은행이라는 점은 유리하지 않음

은행들이 과거에는 대기업 매출이 큼 2003년 이전을 말함.

워낙 은행들이 대기업에 대출이 많다 보니

중소 기업을 위해 대출 상당 부분을 지원할 은행 필요.

정부 정책 지원을 따라가는 경향을 보임

과거를 보면 2008, 2009년에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었는데 다른 은행들이 중소 기업 대출을 줄였지만 오히려 여기는 늘렸다. 부실이 날뻔했지만 부실이 안나고 오히려 더 좋은 효과를 보았다. 

다만 대출 확대를 위해 정부 매년 출자를 함. 

 

 

5. JB금융지주

전북은행을 모태라하고 작다고 무시할 수 없는 지방은행 지주회사.

광주은행을 인수하고 규모를 키우고 DGB(대구은행) 금융지주와 비슷한 규모로 성장 

 

모든 은행 성장 스토리는 M&A

2000년 초반에는 빅딜이 많았음. 어떻게 좋은 기업들을 인수하고 잘 성장해 온 결과가 지금의 은행들.

은행 지주회사들은 대부분은 M&A를 통해 성장함.

*PER가 상대적으로 낮음. 밸류에이션 낮은 특징이 있음

우리캐피탈 인수한것에 실적 상승이 높음.

 

KB, 신한은행처럼 큰 회사도 있지만 JB처럼 지방은행이지만 괜찮은 금융회사들이 있다.

 

우리나라 은행 역사가 길고 금융이라는 섹타가 피부에 와닿지 않지만

은행업은 경제의 혈관이라는 표현이 있다. 경기 자체를 예측하는데서 지식을 많이 갖고 있으면 유리, 은행업에 잘 투자하는 사람은 확실한 자기 주관을 갖고 있으면 좋은 결과. 

 

시가 총액 4%밖에 안된다고 버려두는게 아니라 경제흐름을 알 수 있고 주식시장을 더 잘 이해 할 수 있기 때문에 유념있게 금융업을 볼 필요가 있다.

 

*벨류에이션: 가치평가)은 특정 자산 혹은 기업의 현재 가치를 평가하는 프로세스를 의미

*PER: 주가가 그 회사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로, 주가를 1주당 순이익(EPS: 당기순이익을 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나눈 것이다.

 

 

 


 


후기 

은행업을 투자를 목적으로 할 수 있지만 우리 은행들이 국내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대출을 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경제 흐름을 위해서라도 은행업 주식을 잘 숙지해야 되겠습니다.

 

 


#패스트캠퍼스 #패캠챌린지 # 직장인인강 #직장인자기계발 #패스트캠퍼스후기 #15명의전문애널리스트에게배우는산업&매크로분석과투자전략Online.

https://bit.ly/3FVdhDa

 

(~10/31) 최대 70% 최저가 특가 마지막 득템 찬스! | 패스트캠퍼스

11월 1일부터 수강료가 확- 비싸져요!

fastcampus.co.kr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